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어루러기(Tinea versicolor)**는 피부의 색이 변하며 반점이 생기는 흔한 곰팡이 감염증입니다.
    그런데 어루러기와 비슷하게 보이는 다른 피부질환도 많기 때문에 스스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오늘은 어루러기와 헷갈리기 쉬운 질환들을 비교하고, 어떻게 구별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어루러기(Tinea versicolor)

    어루러기 사진

    특징:

    • 색이 변하는 반점(흰색, 갈색, 분홍색 등)
    • 얇은 각질이 일어나며 살짝 긁으면 가루처럼 떨어짐
    • 주로 목, 가슴, 등, 어깨 부위에 발생
    • 햇빛에 탄 피부에서는 병변이 더 눈에 띔
    • 가려움은 심하지 않은 편임

    진단 포인트:

    • 우드등(Wood's lamp) 비추면 노란색~연녹색 형광
    • KOH 현미경 검사 시 '스파게티와 미트볼' 형태 관찰

     

     

    2. 백선(Tinea corporis)

    백선 사진

    '몸에 생기는 무좀' 이라고도 부르는 질환입니다.

    특징:

    • 피부에 둥근 고리 모양의 붉은 발진
    •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퍼지면서 안쪽은 비교적 깨끗
    • 경계가 뚜렷하고, 안쪽보다 가장자리가 더 붉거나 융기됨
    • 가려움이 상당히 심할 수 있음

    구별 포인트:

    • 어루러기는 색 변화만 있지만, 백선은 뚜렷한 붉은 테두리가 특징
    • 백선은 가려움이 더 심하고, 긁으면 더 퍼질 수 있음

     

     

    3. 백반증(Vitiligo)

    백반증 사진

    피부 색소가 완전히 사라지는 병입니다.

    특징:

    • 뚜렷하게 하얀색 반점이 생김
    • 경계가 뚜렷하거나 약간 흐림
    • 각질이 없음 (피부 표면은 정상)
    • 가려움이나 통증이 없음

    구별 포인트:

    • 어루러기는 가끔 얇은 각질이 있지만, 백반증은 피부가 매끄럽고 각질 없음
    • 백반증은 자외선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 (햇빛 노출 시 주변보다 더 빨리 붉어짐)

     

     

    4.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 사진

    두피와 얼굴에 잘 생기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특징:

    • 붉은색 발진과 함께 기름진 각질이 동반
    • 두피, 이마, 눈썹, 콧등, 귀 주변에 흔히 발생
    • 가끔 가슴 중앙 부위(흉골 주변)에도 발생
    • 가려움 동반

    구별 포인트:

    • 어루러기는 색 변화 중심, 지루성 피부염은 기름진 비늘과 염증이 특징
    • 지루성 피부염은 주로 얼굴, 두피 주변에 발생

     

     

    5. 건선(Psoriasis)

    건선 사진

    만성 염증성 자가면역질환입니다.

    특징:

    • 은백색 두꺼운 비늘을 동반한 붉은 발진
    • 긁으면 비늘처럼 하얗게 일어남
    • 무릎, 팔꿈치, 두피, 허리 등에 흔히 발생
    • 가려움은 경우에 따라 다름

    구별 포인트:

    • 어루러기는 비교적 얇은 각질, 건선은 두껍고 무거운 비늘이 덮여 있음
    • 건선은 만성적이고 재발을 반복하는 경향이 강함

     

     

    어루러기와 다른 피부질환 구별 요약표


    질환 주요 증상 구별 포인트
    어루러기 색이 변하는 반점, 얇은 각질 우드등 검사 양성, 살짝 긁으면 가루 같은 각질
    백선 붉은 테두리, 강한 가려움 뚜렷한 고리 모양, 퍼짐
    백반증 순수한 하얀 반점 각질 없음, 매끄러운 표면
    지루성 피부염 붉은 발진+기름진 비늘 두피, 얼굴에 주로 발생
    건선 두껍고 은백색 비늘 무릎, 팔꿈치, 두피 등 특정 부위 집중

     

     

    어루러기와 비슷한 피부 질환들은 외관상 헷갈릴 수 있지만,
    색상 변화, 각질 여부, 가려움의 정도, 발생 부위 등을 잘 관찰하면 구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자가 진단은 어렵거나 잘못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질환이 의심될 경우 피부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우드등 검사, KOH 검사 등)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초기에 올바른 치료를 시작하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 진단을 받으시길 추천합니다!

    반응형